“이에 비해 고려시대 미술사는 연구 성과가 적은 편이다. 고려청자만은 일찍부터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고려시대 미술사의 대표 장르가 되었지만, 불상, 석탑, 승탑 등 불교 미술은 통일신라에 비해 예술성이 떨어진다는 인식이 강해 연구가 많지 않다. (중략) 역사학계에서도 그동안 고려시대 연구에 소홀했음을 반성하고 있다. 아직도 일제의 식민사관이 만들어낸 왜곡과 편견이 만연하여 고려 역사는 거란, 여진, 몽고, 홍건적의 침입을 받은 전란이 지나치게 강조되고, 원 간섭기도 굴욕적인 것으로만 해석하는 경향이 팽배해 있다. 그러나 전란으로 나라가 그렇게 만신창이가 되었다면 고려대장경, 금속활자, 고려청자, 나전칠기, 금속공예, 고려불화 등 고려시대의 독창적이고 아름다운 예술품들이 어떻게 나올 수 있었겠는가” 유홍준 선생님의 「나의 문화유산답사기」는 참 새로웠다. 지루하기만 한 유적, 예술품, 우리 문화재가 놀랍고 흥미로운 것인 줄 처음으로 알게 해 준 책이다. 고등학교 시절 석불을 보는 취미가 생겨서 국립중앙박물관에 놀러 다니게 된 계기가 되었다. 그만큼 유홍준 선생님은 글을 쉽게 잘 쓰신다. 보통 동양 예술품에는 관심을 갖기가 어렵다. 난해해 보이는 한자어, 전문용어들에 질려서 시작하기도 전에 포기하고 만다. 반면에, 서양문물이 오히려 더 익숙하다. 각종 여행, 에세이, 방송 등에서 접하여 익숙해지고 들어본 풍월이라도 늘게 된다. 그런데, 나의 나라, 나의 선조들이 남긴 것에 대해서는 아는 것이 없다는 건 너무 우습지 않은가. 이웃집 순이네 대소사는 마당개가 강아지 몇 마리를 낳았더라까지 알면서 정작 우리 부모님 생신은 모르는 불효자와 같지 않은가. 유홍준 선생님의 책이 반갑고 가치 있다고 여기는 이유는 내가 몰랐던 우리의 것을 쉽고 재미있게 가르쳐 주기 때문일 것이다. 「나의 문화유산답사기」와 달리 이 책은 일반 대중을 대상으로 한 교양서적이 아니라 학생들에 강의하는 전문서적이다. 그래도 여전히 유횽준 식 글의 장점이 살아있다. 예를 들어, 석탑이면 석탑의 구조와 용어, 양식을 설명하고, 양식이 어떤 방식으로 완성되고 발전되고 퇴화되다가 새로운 창조가 일어나는지 맥락을 설명해준다. 구체적인 사진 자료들이 많아서 비교하며 이해하기에도 좋다. 또한 그 동안 잘 모르던 고려 시대의 한 면을 조금 더 알게 되는 기쁨이 있다. 저자의 지적대로 왜곡된 역사과, 선입견으로 제대로 알지 못했는데, 조금이지만 우리의 것에 익숙해지고 배우는 즐거움이 있다. 어쩌다 보니 2권부터 읽게 되었지만, 1권과 3권에도 기대를 가지게 된다.
유홍준의 한국미술사 강의 두 번째 책!통일신라와 고려의 미술, 한국미술사의 꽃을 이루다 2010년 출간된 제1권 선사·삼국·발해편 에 이어 제2권 통일신라·고려편 이 출간되었다. 통일신라의 미술은 〈통일신라의 건축과 왕릉〉을 시작으로 석탑·석등·당간·승탑 등의 석조미술과 불상, 그리고 사리장엄구와 범종 등 총 일곱 주제로 묶어 설명했으며, 고려의 미술은 〈고려 역사의 이미지와 건축〉을 시작으로 석조미술, 불상, 고려청자, 금속공예와 나전칠기, 고려불화 등 총 아홉 주제로 대별했다. 또한 기존 미술사에서 잘 다루지 않았던 글씨와 사경, 고려대장경 등도 꼼꼼히 다루었다 지난 제1권이 고고학이나 고인류학에 대한 서술에 많은 지면을 할애했다면, 제2권에서는 본격적으로 한국미술이 전개된다. 한국미술의 정수를 이루는 통일신라와 고려의 유물들이 화려하게 펼쳐지는 두 번째 책은 마치 한국미술의 꽃을 보는 듯한 느낌을 준다. 본문에 언급된 유물은 가능한 한 모두 사진을 수록하여 원고를 이해하는 데 어려움이 없도록 하였고, 저자가 생각하는 유물의 중요성과 꼭 알아야 할 특징을 최대한 살리도록 편집하였다. 또한 책에 수록된 630여 컷의 사진과 34컷의 일러스트는 그 자체로 한국미술사를 이루어, 내용을 읽지 않고 사진만 넘겨봐도 한국미술의 특징과 흐름을 한눈에 이해할 수 있다. 이 책을 통해 교양과 상식으로서 한국미술사를 이해하고자 하는 일반인과 미술사를 공부하는 학생들이, 학문이 아닌 감상의 마음가짐으로 한국미술을 둘러보며 감탄사를 연발하게 될 것이다.
‘한국미술사 강의’ 두 번째 책을 펴내며
통일신라 미술
13장 통일신라의 건축과 왕릉
자연과 인공의 고전적 조화미
14장 통일신라의 석탑
화강암 나라의 독창적인 불교미술
15장 통일신라의 석등과 당간
석조미술의 새로운 전통
16장 하대신라의 승탑
팔각당 사리탑의 새로운 전통
17장 통일신라의 불상
이상적 인간상에서 호족의 초상으로
18장 통일신라의 공예
공예의 꽃 : 사리장엄구와 범종
19장 통일신라의 글씨와 그림
명필의 탄생과 사경의 전통
고려 미술
20장 고려 역사의 이미지와 건축
자연과의 적합성을 추구한 건축
21장 고려의 석조미술
개성적인 지방 양식의 확산
22장 고려의 불상
과장과 변형의 다양한 변주
23장 고려청자
천하제일 고려비색
24장 상감청자
아름다운 무늬를 위한 청자의 변신
25장 고려의 금속공예와 나전칠기
공예왕국의 전통을 이어받으며
26장 고려의 글씨와 사경
예술로서 글씨와 삽화
27장 고려불화
아, 아름다워라 고려불화여
28장 고려의 회화
감상화의 새로운 전통
부록 목조건축 구조의 이해
참고서목
도판목록